IT 세상 뒤집기/후니의 네트워크 기초부터 다시 해보기

6. 인트라넷과 엑스트라넷은? !!

후니85 2023. 12. 6. 12:02

안녕하세요. 후닙니다.

네트워크 이야기를 처음부터 쉽게 설명드리고자 시작한 글이 오늘로 여섯번째가 됐네요^^

 

처음 IT에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네트워크 용어는 낯설고 어색하게 느껴지는 게 당연한 일일 겁니다. 하지만 모든 게 그렇듯 네트워크도 사실 알고 보면 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꽤나 재미있는 세상입니다. 너무 급하게 마음먹고 하루아침에 모든 걸 다 이해해야겠다는 마음을 접고, 천천히 재미를 붙여가면서 배우다 보면 어느덧 네트워크를 쉽게 이해하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되실 겁니다 ^^. 

 

상식이라는 게 몰아서 한꺼번에 공부하면 몰상식이 된다고하잖아요 ㅎㅎ

728x90

자 그럼 지난 시간에 배운 인터넷에이어서 오늘은 인트라넷과 엑스트라넷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.

 

인트라넷(IntraNet)은 앞에 인트라(Intra)의 의미가 '내부' '안쪽' 뭐 이런 의미잖아요? 

그래서 우리말로 풀어보자면 '내부 네트워크' 또는 '사설 네트워크' 정도로 해석이 될 것 같습니다. 그런데 그냥 인트라넷이라고 이야기하는 게 더 나아 보이긴 하네요 ^^

 

눈치채셨겠지만 인트라넷은 인터넷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답니다.

먼저 인터넷과 비슷한 면이라면 TCP/IP라는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.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CP/IP라는 프로토콜을 쓴다고 이야기드렸었죠? (기억 안 나시면 이전 글을 다시 한번 읽어주세요 ^^) 인트라넷도 인터넷과 같은 언어를 사용한답니다. 따라서 인터넷이 되는 장비(컴퓨터, 스마트폰..)라면 당연히 인트라넷을 사용하는데도 전혀 문제가 없답니다. 그러니까 "이 컴퓨터는 인터넷은 되는데 인트라넷은 안 돼요"라는 말은 틀린 말이다 라는걸 이젠 알게 된 겁니다 ^^

 

인터넷과 인트라넷의 두번째 같은 점은 사용법이 같다는 겁니다. 즉 크롬이나 사파리, 파이어폭스등 인터넷을 사용할 때 썼던 웹브라우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사용하는 언어도 같고, 사용하는 방법도 같은 거죠? ^^

 

그럼 차이점은 뭘까요?

인터넷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, 전세계 어디에 있는 정보든 다 연결이 가능하다고 했지만, 인트라넷은 사용자를 딱 한정하고 있다는 겁니다. 즉 아무나 쓸 수 있는 네트워크가 아니라는 겁니다. 인트라라는 말이 내부라고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인트라넷은 내부 사람들만 쓰는 네트워크입니다. 즉 회사내부, 학교내부, 기관내부등 어떤 단체나 기관, 조직 구성원들만 쓸 수 있게 만들어놓은 네트워크입니다.

 

시스코의 인트라넷 화면

 

여기 시스코라는 회사의 인트라넷 화면을 보고 계십니다. 시스코는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 회사이고 본사는 미국 산호세에 있답니다. 물론 한국에도 지사가 있고요, 음 제가 꽤 오랜기간 근무했던 곳이기도 하고요 ^^

암튼 이 시스코란 회사의 인트라넷 화면을 보시면 우리가 흔히보던 인터넷과 다를 게 없어 보입니다. (물론 영어지만요 ㅎ)

 

하지만 이 사이트는 회사 직원만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있답니다. 인터넷처럼 생겼지만 웹사이트 주소를 치면 들어갈 수 없다고 나옵니다. 내용도 자세히 보면 회사 직원들만 볼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. 회사 조직에 대한 내용, 직원 교육이나 휴가신청에 대한 내용, 사장님 메시지등 다양한 회사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. 이런 인트라넷은 거의 모든 조직이 구축하고 있고, 그 조직원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오직 그 조직원들만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. 

 

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요? ^^

이 이야기를 하려면 좀 길어지긴 하는데 쉽게 말씀 드리자면 그게 바로 네트워크 보안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^^

다양한 보안 기술이 여기에 적용되서, 생긴 건 인터넷과 같지만 사용은 한정된 그룹만 가능하게 되는 겁니다.

 

자 그럼 인트라넷 이해하셨죠? 이번엔 엑스트라넷(ExtraNet)입니다.

엑스트라넷요? 음... 엑스트라 많이 들어보셨죠? 영화에서 단역배우...

그렇다고 엑스트라넷이 단역배우들을 위한 네트워크는 아니랍니다 ^^

 

엑스트라넷에서 Extra는 '추가의'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뭔가 어떤 네트워크에 추가했다는 의미겠죠?

엑스트라넷은 앞에서 배운 인트라넷에 뭔가를 추가 한 겁니다.

즉 인트라넷이 어떤 조직의 멤버만 접속이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죠? 거기에 그 조직멤버는 아니지만 그 조직과 같이 협력해서 일하는 사람들까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. 

 

따라서 엑스트라넷은 인트라넷의 조금 더 확장된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 

만약 어떤 회사의 인트라넷이 있다면 거기에 그 회사와 같이 협력하는 협력사의 직원들까지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만들어줬다면 그건 엑스트라넷이 되는 겁니다. 아무래도 같이 협력해서 일하다 보면 같이 공유해야 할 정보도 있겠죠? 그래서 엑스트라넷을 만들게 된 겁니다.

 

오늘 좀 길어졌는데요.

정리해 보면 인트라넷은 인터넷과 같은 언어(TCP/IP) 같은 사용방법(웹브라우저)을 통해 사용하지만 접속가능한 사람이 다르다고 말씀드렸죠? 인터넷은 누구나 접속이 가능하지만, 인트라넷은 그 회사, 그 학교 사람만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라고 설명드렸습니다. 그리고 엑스트라넷은 인트라넷의 사용자 범위를 확대해서 만들어진 네트워크로 그 조직 사람뿐 아니라 협력회사의 조직원들까지 접속이 가능하도록 만든 네트워크라고 설명드렸습니다.

 

쉽죠?^^

안녕 ~

728x90
반응형